[논문] How to Read a Paper

Date:     Updated:

카테고리:

ABSTRACT

연구원들은 연구 논문을 읽기 위해 많은 시간을 쓴다. 하지만 이 기술은 많이 알려지지 않아 시간을 낭비하게 한다. 이 기사는 연구 논문을 읽기 위한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을 제시한다. 또한 literature survey를 하기 위해서 이 방법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도 제시한다.

1. INTRODUCTION

연구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논문을 읽어야 한다. 예를 들어,

  • 학회나 수업에서 논문을 검토하기 위해
  • 자신의 분야에서 최신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
  • 혹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문헌 조사를 위해 읽는다.

일반적인 연구자는 매년 논문을 읽는 데 수백 시간씩 소비할 가능성이 높다.
이 글에서는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기 위한 ‘3단계 접근법(three-pass approach)’과 이를 literature survey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.

2. THE THREE-PASS APPROACH

핵심 아이디어는 논문을 바로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것이 아니라, 최대 3단계에 걸쳐 읽는 것이다.

  • 첫 번째 단계는 논문에 대한 전반적인 아이디어를 얻는 것이다.
  • 두 번째 단계는 논문의 내용을 파악하지만, 세부 사항에는 집중하지 않는다.
  • 세 번째 단계는 논문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다.

2.1 The First Pass

논문을 빠르게 스캔 → 전반적인 개요를 파악 → 더 읽을지 결정 (약 5~10분 정도 소요)

  1. Title, Abstract, Introduction를 주의 깊게 읽는다.
  2. Section 및 하위 Sub-Section만 읽고, 나머지는 무시
  3. Conclusions을 읽는다.
  4. References를 훑어본다. (이미 읽은 것 들은 마음속으로 체크)

결과

이 단계가 끝나면 다음의 다섯 가지 질문(5C)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:

  1. Category (분류): 이 논문의 유형은 무엇인가? 측정 논문인가? 기존 시스템의 분석인가? 연구 프로토타입에 대한 설명인가?
  2. Context (문맥): 이 논문은 어떤 다른 논문들과 관련이 있는가?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어떤 이론적 기반이 사용되었는가?
  3. Correctness (정확성): 가정들이 타당해 보이는가?
  4. Contributions (기여): 이 논문의 주요 기여는 무엇인가?
  5. Clarity (명확성): 이 논문은 잘 쓰였는가?

2.2 The second pass

논문을 더 주의 깊게 읽되, 증명과 같은 세부 사항은 무시 (최대 1시간 정도 소요)
읽으면서 주요 내용을 적어두거나 여백에 메모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.

  1. 논문에 포함된 그림, 도표 및 기타 시각 자료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. (특히 그래프에 주목)
    1. 축이 제대로 표시되어 있는가?
    2.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을 제시하는가?

      ⇒ 이러한 일반적인 실수를 통해 논문의 좋고 나쁨을 구분할 수 있다.

  2. 1단계에서 훑어본 것들 중 읽지 않은 관련 Reference를 표시 → 나중에 읽는다

결과

  • 이 단계를 마친 후에는 논문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논문의 주요 주장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다른 사람에게 요약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.

2.3 The third pass

세 번째 단계의 핵심은 논문을 가상으로 재구현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.
즉, 저자와 동일한 가정을 설정하고, 연구를 재현해 보는 것이다. (초보자 : 약 4~5시간 / 숙련자 : 약 1시간)

⇒ 논문의 혁신뿐만 아니라 숨겨진 한계와 가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.
이 단계에서는 세부 사항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.

  • 논문의 모든 진술에 담긴 가정을 식별하고 검증해야 한다.
  • 특정 아이디어를 자신이라면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.
  • 이러한 실제 논문과 가상의 비교는 논문에 사용된 증명 및 발표 기법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며, 이를 자신의 연구 도구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.

이 단계에서는 미래 연구에 대한 아이디어도 함께 기록해야 한다.

결과

이 단계를 마친 후에는 논문의 전체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, 논문의 강점과 약점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.
특히 다음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:

  1. 명시되어 있지 않은 내재적인 가정
  2. 관련 연구에 대한 누락된 인용
  3. 실험적 또는 분석적 기법과 관련된 잠재적 이슈

3. DOING A LITERATURE SURVEY

논문 읽기 기술은 literature survey를 수행할 때 진정으로 시험대에 오른다.
→ 수십 편의 논문을 읽어야 하며, 때로는 익숙하지 않은 분야에서 작업

그렇다면 어떤 논문을 읽어야 할까?
⇒ 3단계 접근법을 활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.

  1. 첫 번째 단계: 초기 논문 검색 및 읽기
    • Google Scholar, CiteSeer와 같은 학술 검색 엔진과 적절한 키워드를 사용하여 해당 분야의 최근 논문 3~5편을 찾는다.
    • 각 논문에 대해 첫 번째 단계를 수행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개요를 파악
    • 각 논문의 Related Work Section을 읽는다.
      ⇒ 이를 통해 해당 분야의 최근 연구를 간략히 요약한 내용 혹은 Survey Paper를 얻을 수도 있다.
    • 만약 Survey Paper를 찾았다면, 이를 읽고 작업을 마무리한다.
  2. 두 번째 단계: 핵심 논문 및 연구자 식별
    • 관련 문헌에서 공통으로 인용된 논문과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저자 이름을 찾아낸다. 이들은 해당 분야의 핵심 논문과 연구자이다.
      • 핵심 논문을 다운로드하여 따로 보관한다.
      • 핵심 연구자들의 웹사이트를 방문 → 최근에 어디에 논문을 발표했는지 확인
      • 이를 통해 해당 분야의 Top Conferences를 파악
  3. 세 번째 단계: 주요 학회 논문 검토
    • Top Conferences의 웹사이트에 접속 → 최근 학회 자료(proceedings)를 살펴본다.
    • 빠르게 스캔하여 최근의 고품질 관련 연구를 확인한다.
    • 이 논문들과 이전에 확보한 논문들이 문헌 조사의 첫 번째 버전을 구성한다.
    • 이 논문들에 대해 두 번째 단계를 수행한다.
    • 만약 모든 논문이 특정 중요한 논문을 인용했지만 이를 찾지 못했다면, 해당 논문을 확보하여 읽는다. 이 과정을 필요할 때까지 반복한다.

Papers 카테고리 내 다른 글 보러가기

댓글남기기